이 글의 원문링크
주제
- #특수대학원
- #장단점
작성: 2024-04-10
작성: 2024-04-10 09:08
본인의 커리어를 위해서, 혹은 더 깊은 배움을 위해서 대학원을 생각하시는 개발자분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학비가 비싸고, 시간도 투자해야하는 만큼 입학 전 진학에 대한 목표를 명확히 하시는게 좋습니다. 저는 특수대학원을 진학하여 제 경험상 준비하시는데 도움이 되는 몇 가지를 정리해보겠습니다.
대학원 입학시 고려사항
특수 대학원의 장점
석사학위 취득
일반대학원과 다르게, 직장과 병행하며 비교적 쉽게 석사학위를 취득할 수 있습니다. 일반대학원은 졸업논문이 필수이지만, 특수대학원은 졸업논문 대신 추가 수업을 통해 논문없이 졸업 가능한 곳이 많습니다.
네트워킹
보통 입학 하시는 분들이 해당 업계에서 오래 일하신 현업분들이 오시기 때문에 이직시 도움을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저의 경우에도 네이버에서 임원으로 계신 분도 계시며, 각 서비스별로 고급 개발자, 기획자 등 다양한 직군에서 사람들을 만나며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특수 대학원의 단점
비싼 등록금
보통 600만원대 등록금으로 학부시절과 비교하면 비싼편에 속합니다. 수업의 질이 대학원마다 다르겠지만, 보통 학기당 2~3 과목만 듣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비싸게 느껴집니다. 5학기이므로, 등록금 * 5로 비용을 산출하여 스스로 감당 가능한지, 학비를 투자하여 얻을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고려해봐야합니다.
졸업논문
석사 졸업논문은 보통 50장 수준에서 작성하게 되며, 실제로 논문을 통해 졸업하는 것은 난이도가 있는 편입니다. 하지만 내가 R&D로 이직, 혹은 박사 과정을 진학할 경우 연구성과로 졸업논문을 요구하는 곳이 많아서 논문 졸업을 하는게 좋고, 목적이 네트워킹이나 석사 학위 취득이라고 하면 논문을 쓰지 않아도 문제가 없다고 생각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