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원문링크
주제
- #비전공 개발자 포트폴리오
- #업무 기술
- #프로젝트 경험
작성: 2024-04-03
작성: 2024-04-03 20:41
보통 개발자 취업을 준비 중이신 케이스는 전공자로써, 대학을 졸업하면서 개발자로 취업하는 케이스와 비전공으로 학원 수료 후 취업을 준비하는 2가지 케이스가 대표적입니다.
최근에는 인프런 멘토링을 통해 비전공 개발자 취준생분들의 이력서 및 포트폴리오를 검토하고, 피드백을 드리고 있는데 같은 신수를 반복하시는 케이스가 많아서 오늘은 신입 개발자(비전공 기준)으로 포트폴리오 작성에 대한 팁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신입 개발자 포트폴리오 작성 팁]
포트폴리오에는 여러 프로젝트 경험을 포함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학원에서는 보통 2번의 프로젝트를 하게 되는데 이게 바로 프로젝트 경험으로 들어갑니다. 각 프로젝트에 대한 설명과 사용한 기술, 개발한 기능 등을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어떤 기능을 개발했는지 본인의 담당 기능을 작성하면 됩니다.
이 부분에서 요즘 신입 개발자분들께서 많이 하시는 실수가 너무 "기술"에만 치중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다음 예시를 보면서 설명하겠습니다.
프로젝트명 : 취준생을 위한 커뮤니티
사용 기술 : Spring boot, Oracle, JPA, React.js, CSS, HTML
담당 업무
위 내용을 보시면 나름 프로젝트에 대해서 기술적인 부분이 잘 작성되어 있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이 포트폴리오를 처음 보는 입장에서는 "그래도 만든 기능이 뭔데?" 라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부분에서 빠진 것은 "업무" 내용으로 "어떤 서비스 혹은 기능"을 개발하였는지가 빠졌습니다. 기본적으로 제가 추구하는 포트폴리오 혹은 경력기술서는 업무 소개 + 기술적 내용이므로 해당 포트폴리오는 다음과 같이 수정하는 피드백을 드렸습니다.
프로젝트명 : 취준생을 위한 커뮤니티
사용 기술 : Spring boot, Oracle, JPA, React.js, CSS, HTML
담당 업무
조금 단순한 예시이지만, 어떤 업무를 개발했는지가 추가되어 이 사람이 어떤 서비스를 개발했고, 개발하는 과정에서 어떤 이유에서 기술적인 고민을 했구나 라고 느낄 수 있는 포트폴리오로 피드백을 드렸습니다.
개인적으로 기술적인 부분도 좋지만, 업무적인 부분도 충분히 고려해야 된다고 생각됩니다. 금융권이 괜히 금융 업무를 경험해본 사람을 뽑는것이 아닙니다. 개발자는 실제 사용자보다 해당 업무를 더욱 잘 알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업무에 대한 이해도 및 분석 능력을 보여줄 필요가 있습니다.
포트폴리오를 작성하는 취준생 분들이 많이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댓글0